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리버싱 워게임
- 머신러닝
- php
- 리버싱
- 회귀 수식
- 웹
- C언어
- 보안
- 자바스크립트
- 백준 알고리즘
- html
- CodeEngn
- 리버싱 문제
- 해킹
- 알고리즘
- sql injection
- 어셈블리어
- abex crackme
- 웹해킹
- MySQL
- 워게임
- writeup
- webhacking
- 리액트
- webhacking.kr
- 인공지능
- 백준
- 넘파이
- 리눅스
- 컴퓨터 구조
- Today
- Total
목록인공지능 (17)
인공지능 개발일지
데이터 분석을 하면서 데이터 프레임의 평균값을 구해야 하는데 아래와 같이 뜨거나(전체가 안 나옴) 나오긴 하는데 특정 열이 누락되어서 전체 로우 별로 평균이 안 나오면 보통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를 거치면 해결됩니다. 1. 결측치 있을 때 먼저 결측치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 있다면 아래와 같이 바꿔줍니다. 보통 결측치가 있으면 공백으로 있는데 이를 판다스에서 공백으로 인식을 못해서 넘 파이의 공백 형태(np.nan) nan값으로 바꿔주고 평균값 혹은 중앙값 등으로 전체 결측치를 다 처리한 후에 다시 mean메소드를 사용하면 될 것입니다. 데이터 프레임명. replace(' ', np.nan, inplace=True) +결측치 확인 데이터프레임명.isnull().sum()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2. 결측치 없..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vv4t/btrqMQkGsyz/a46wHNm1WpnONqvoaMM6RK/img.png)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동아대 추천 연구실에서 데이콘의 여러 대회를 나가며 데이터 분석을 공부 중입니다. 한동안 바쁘다는 핑계로 블로그 관리에 소홀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제는 바쁜 것도 끝났고 해왔던 것을 정리하는 겸 다시 꾸준히 올리겠습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작년에(벌써 작년 ㅠㅠ) 2학기가 종강할 무렵에 캐글의 한국판 버전인 "데이콘"이라는 좋은 플랫폼을 발견하고 여기서 저희 연구실 방향과 맞는 잡케어 추천 알고리즘 경진대회와 KNOW기반 직업 추천 알고리즘 경진대회 중 어느 대회를 나갈까 각각 대회의 데이터를 분석하다 결국에 KNOW기반 직업 추천 대회를 하기로 하고 현재 그 데이터를 더 깊게 분석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래도 한 김에 블로그에 올리면 좋겠다 싶어서 올려봅니다. 대회 참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K0dZ/btrhdw3cGIF/hAGlKyDj9zyxgbnXAuBOI0/img.png)
안녕하세요!! 공부하고 올린다는 게 생각보다 늦어졌네요. 사실 이게 크게 중요한 것 같진 않지만 공부한 김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들만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Numpy는 머신러닝의 선형대수 라이브러리입니다. 0. 시작 Numpy를 쓸 때는 제일 윗줄에 아래의 명령어를 써줍니다. 1. 자료형 Numpy는 ndarray를 기본 Datatype으로 합니다! ndarray는 행렬 자료구조 클래스로 리스트와 출력 형태가 동일합니다. 이를 생성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받을 변수=np.array(객체) np.array의 인자로 ndarray로 변환을 원하는 객체를 주면 변환된 ndarray가 반환됩니다. 이는 아래와 같은 예제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1 자료형 - 변경 다음으로 배열을 변경하고 확인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TfmU/btrbVoQlGac/aJ8iz8pdlOgBgKI0qjojJK/img.png)
머신러닝 공부하는데 두 가지 시도를 해보았으나 일단 아래 두 가지는 아닌 듯하다. 혼공머 책으로만 공부 코세라 머신러닝 강의 그래도 한 거니까 일단 후기 겸 정리를 써본다. 1. 혼공머 책 공부 혼자 공부하는 머신러닝+딥러닝 교재를 보고 따라서 하는 중이다. 그런데 세상에.. 별로 안 친절하다. 그냥 그래 하고 끝남! (참고로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는 친절해서 입문자들에게 추천!) 이게 뭐 하는 거야? 싶은데 부족한 파이썬 문법 개념도 한몫했으리라 생각한다. 내가 뭘 보고 있는 거지 하는 생각도 든다. 험난하다 험난해.... 아나콘다 설치 후 주피터 노트북에 먼저 들어감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bream_length = [25.4, 26.3, 26.5, 29.0, ..